에모리대학 연구팀에서 유방암 연구 참가자를 모집합니다.



안녕하세요,

Emory University 간호학과 연구팀은 미국에 거주하며 유방암을 진단받은 아시아 여성들을 대상으로 기술 기반의 정보 및 코칭/지지 프로그램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를 진행 중에 있습니다. 특히, 본 연구에 참여하실 한인 여성분을 모집하고 있습니다.

1) 21세 혹은 그 이상의 아시아계 미국 거주 여성으로서

2) 과거에 유방암을 진단받았으며

3) 영어, 만다린어, 한국어, 혹은 일본어를 읽고 쓸 수 있고

4) 인터넷에 접속이 가능하며

5) 세부인종이 중국인, 한국인, 혹은 일본인인 분을 저희 연구의 참여자로 모십니다.

참여 자격을 갖추고 연구 참여에 동의하신 분은 두 개의 그룹으로 무작위 배정됩니다. 참여자께서 어느 그룹에 배정되셨는지에 따라 3개월간 1) 교육용 정보를 사용하시거나, 2) 온라인 포럼 및 1:1 코칭/지지 프로그램에 참여하시게 됩니다. 모든 참여자들은 3번에 걸쳐 설문지를 작성하시게 되며, 본 연구의 참여 기간은 총 3개월입니다. 프로그램 종료 후 각각의 참여자들은 50달러의 보상을 받으실 것입니다. 본 연구는 미국 국립보건원으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(National Institute of Health, Project Number: 1R01CA203719-01).

본 연구의 간략한 초록은 다음과 같습니다.

“아시아계 미국인 유방암 생존자들을 위한 기술 기반의 정보 및 코칭/지지 프로그램”

아시아계 미국인 유방암 생존자에 대한 연구의 수가 적음에도 불구하고 이 여성들이 유방암과 관련된 불필요한 부담을 더 짊어지고 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. 이들은 증상이나 통증을 잘 호소하지 않고 도움을 늦게 찾으며 문화적 가치나 믿음, 언어 장벽으로 인해 지지를 찾거나 질문을 하는 일이 적기 때문입니다. 이러한 문제들은 이 특별한 대상자들을 위한 지지가 명백히 필요함을 나타내기도 합니다. 그러나 암 센터들에 의해 시행되는 생존자 프로그램은 직원의 시간 부족이나 보험 보상의 부족으로 인해 정보를 제공하고 코칭 및 지지를 제공하는 데에 있어 심각한 문제를 겪고 있습니다.

더 나아가 임상에서의 환자-건강관리 제공자 사이의 상호작용이 빠르게 이루어져야 하는 부담으로 인해 의료진은 최신 정보를 제공하거나 문화적 태도를 고려한 코칭 및 지지를 제공하는 데에 충분한 시간을 가지기 어렵습니다. 이러한 모든 상

황이 정보 및 코칭/지지의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전달 방법이 필요함을 나타내고 있습니다. 컴퓨터나 모바일 기기 (스마트폰 및 태블릿)를 이용한 기술 기반의 접근 방법들은 높은 융통성과 접근성으로 인해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고 바쁘고 비용이 많이 드는 건강관리환경에서의 중재 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습니다. 또한, 얼굴을 마주하고 상호작용할 필요가 없는 기술 기반의 중재방법은 유방암이 여전히 낙인이 찍히는 경험으로 작용하는 문화권에서 온 많은 여성들에게 더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. 그러므로 이전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저희 연구팀은 이론을 바탕으로 아시아계 미국 거주 유방암 생존자들에게 문화적으로 맞춰진 기술 기반의 정보 및 코칭/지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파일럿 연구를 마쳤습니다.

이번에 제안된 무작위 중재 연구의 목적은 여성들의 유방암 생존 경험을 증진시키고자 개발된 아시아계 미국 거주 유방암 생존자들을 위한 기술 기반의 정보 및 코칭/지지 프로그램 (TICAA)의 효율성을 테스트하기 위함에 있습니다. 상세한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. a) 중재를 받은 그룹이 대조군에 비해 기존의 결과로부터 1차 측정 포인트 (1달 후) 와 2차 측정 포인트 (3달 후) 결과(도움 요구, 신체적 증상, 심리적 증상, 삶의 질)에서 유의하게 더 높은 향상을 보이는지 확인하기 위해; b) 이론을 바탕으로 TICAA의 중재 효과를 조정하는 것으로 알려진 변수들 (태도, 자기효능감, 인지된 장애, 유방암 생존권과 관련된 사회적 영향 등)을 확인하기 위해; c) TICAA의 효과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이 배경적 특성 및 질병 관리 요인들에 의해 달라지는지 확인하기 위해서.

본 연구는 반두라의 행동변화이론을 따르고 있습니다. 본 연구는 무작위성 반복적 측정 (시험 전/후) 대조군 디자인으로 330인의 아시아계 미주 거주 유방암 생존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됩니다. 본 연구의 장기적 목표는 a) 본 프로그램을 다양한 건강관리 상황에 적용하기 위해; b) TICAA가 장기적으로 건강 관련 결과들을 증진시킬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; c) 소수인종 그룹의 유방암 생존자들을 위해 문화적으로 맞춤화된 기술 기반의 중재 방법 및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증진시키기 위함입니다.

만일 본 연구에 질문이 있으신 경우 아래 기재된 연락처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.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.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

TICAA 프로젝트 팀

Emory 간호대학교

이메일: SONTICAA@mscloud.emory.net

전화: 404-712-8381


Leave a Reply